천자문 |
주역을 담은 천자문
천자문을 한자입문교재로 생각하여 매우 쉬운 내용일 것이라 여기지만 실제 그 뜻을 완전히 이해하는 이는 흔치 않다. 천자문 내용이 역(易)의 심오한 철리, 천문, 지리, 고대역사, 전대고사, 동식물 등을 두루 망라하고 있으므로 천자(天字)만 잘 익히고 깨우치면 세상의 이치가 훤히 보인다.
|
강좌리스트보기 |
주역 입문 |
주역 입문
주역원전을 공부하기에 앞서 태극, 음양, 삼재, 사상, 오행 등의 기본개념과 하도, 낙서, 선천팔괘, 후천팔괘, 간지 풀이하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두루 망라하여 기초를 세운다. 64괘의 형상, 명칭, 순서 등에 대해서도 자세히 공부한다.
|
강좌리스트보기 |
대학 |
주역으로 풀어본 대학
고본대학(古本大學)에 순서가 바뀌고 빠진 부분이 있다는 선유(先儒)들의 말씀에 의거하여, 경전원문 순서를 주역의 이치로 새로 정리한 야산(也山) 이달 선사의 『대학착간고정(大學錯簡考正』을 배운다. 야산 선사는 대학을 “역을 배우는 관문<學易之關>”이라 정의하였다. 태극을 밑바탕으로 양의(1변) 사상(2변) 팔괘(3변)가 전개되듯이, 삼팔목도(三八木道)의 태극원리에 따라 대학의 삼강령(三綱領)과 팔조목(八條目)도 펼쳐진다.
|
강좌리스트보기 |
|